Machine 썸네일형 리스트형 로지스틱 회귀 로지스틱 회귀(영어: logistic regression)는 D.R.Cox가 1958년[1] 에 제안한 확률 모델로서 독립 변수의 선형 결합을 이용하여 사건의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는데 사용되는 통계 기법이다. 로지스틱 회귀의 목적은 일반적인 회귀 분석의 목표와 동일하게 종속 변수와 독립 변수간의 관계를 구체적인 함수로 나타내어 향후 예측 모델에 사용하는 것이다. 이는 독립 변수의 선형 결합으로 종속 변수를 설명한다는 관점에서는 선형 회귀 분석과 유사하다. 하지만 로지스틱 회귀는 선형 회귀 분석과는 다르게 종속 변수가 범주형 데이터를 대상으로 하며 입력 데이터가 주어졌을 때 해당 데이터의 결과가 특정 분류로 나뉘기 때문에 일종의 분류 (classification) 기법으로도 볼 수 있다. https://k.. 더보기 [Linux] 가상머신에서의 host 설정. 외부에서 접근 해줄 가상 머신이 존재할때..네트웍 설정을해주는 부분은 문제가 될수 있다.gCloud의 경우 외부 아이피가 211.*.*.* 이고..내부 머신 아이피가 192.*.*.* 이라 할때..머신 내부 어플에서 host ip를 211.*.*.* 로 잡아주면 바인딩 문제가 생기게 됨. (흠...이것땜에 하루를 꼬박 날렸지..ㅠ)이때 내부 머신 아이피를 사용해주면 문제 해결..글로벌 아이피인 0.0.0.0을 사용해줘도 바인딩은 정상적으로됨. 더보기 이전 1 다음